top of page

생태 조각

​ 변 종 필 ㅣ 미술평론

조각가 김태수는 오랜 시간 무궁한 지연의 파노라마를 유연하고 단순한 곡선과 곡면의 형(形)으로 환원한 후 색을 입히고 공간을 해석함으로써 거기에 태(㣍)를 입혀 왔다. 그렇게 자연이 드러내는 다채롭고 변화무쌍한 장면을 형태로 만들어 자연이 존재하는 형식을 부어 주고 있다. 그 형식은 자연의 내면적 고유성이기도 하다.

작가가 3년 만에 선보이는 개인전 는 3층(See)-2층 (Look)-1층(Find)의 3개 층으로 나눈 전시 구성을 통해 자연의 내면적 고유성을 탐구한 그의 태도(관점)를 경험하게 유도한다. 3층은 높은 곳에 올랐을 때 자연스럽게 시야에 들어오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단순한 형태로 표현한 작품이 놓였다. 바람이 어루만진 듯 리드미컬한 산의 형상에 생동적인 녹색을 더해 작가가 조용한 자연의 모습을 상상하게 한다. 2층은 역동적인 자연의 변화를 관객의 동선과 시선의 이동에 따라 다르게 인식할 수 있는 작품을 배치했다. 사계절의 변화를 가까이서 들여다본 것처럼 지연의 흐름을 인지하도록 유도하며 생태의 순환을 우주의 신비처럼 표현했다. 벽에 걸린 옵티컬 (optical) 평면 조각(부조)과 천장에 매단 웨이브 형대의 설치작품은 보는 각도에 따라 곡면의 흐름이 달라져 자연의 속살(내면)을 확대해서 은밀하게 들여다보는 듯하다. 1층은 작가가 자연에서 발견한 아름다움을 가장 감각적인 색과 형으로 조형화한 작품이 주를 이룬다. 단순화한 형에 입힌 원색이 강렬하다.

자연, 유희적으로 탐구하기
3층으로 나누어 전시한 작품들은 구성 의도가 충분히 드러나는데도 협소한 공간으로 온전히 감상하기 어려워 아쉬웠다. 그나마 연출 방식의 아쉬움을 대신할 수 있는 것은 작품마다 붙인 제목이다. 열매 싹 풀과 같은 자연물을 형상화했지만, 등 감정의 순간이 느껴지는 제목에서 작가가 자연을 마주하며 경험한 순간적인 영감을 영원 또는 결정(結晶)의 의미로 확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처럼 남성과 여성의 상호작용을 표현한 작품, 이라는 각각 다른 명제를 지닌 작품들처럼 같아 보이는 사물, 혹은 자연물이라도 어느 것 하나 같지 않고 관찰자의 시선과 감흥에 의해 그 다름이 새롭게 인식되는 것을 알려 준다.

김태수의 작품세계는 모든 생물체가 ‘우주-대고-여명’이라는 기대한 자연 순환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에 근원을 든다. 그리고 자연의 생태 흐름을 바라보고, 들여다보고, 발견하는 과정을 통해 찾아낸 자연의 내면적 고유성이 내재한 단순한 형과 태의 결정물이다. 이때 한 가지, 작품의 제작과정에서 스테인리스 판재는 정밀한 기술적 과정(절단-용접-연마-도장)을 거치면서 작가의 손길이 감지하기 어려운 지점에 이를수록 세련된 장식성을 띈다. 이 순간이 범속한 재현성을 극복한 이상적 예술 형태의 창조를 추구했던 작가 의도가 뚜렷해지는 지점이다. 기술(기계)적 개입마저 오직 아름다운 이상적 형태를 얻기 위한 필연의 선택이었다는 설득력을 갖게 한다.
이번 전시는 20년 넘는 원숙함이 만든 유희적 세련미의 특출함, 유려한 곡선과 곡면에 입힌 색이 이룬 하모니가 어떤 형태를 갖추었을 때 이상적인 아름다움으로 다가올 수 있는지 경험하게 한다. 무한한 자연 생태 중 자신에게 영감을 준 대상을 몇 개의 이상적 형과 태로 단순화하는 창작 활동은 순간순간 작가에게는 유희적이었을지 모른다. 그럼에도 그의 색채 조각을 단순히 유희적 행위의 결과물로만 볼 수 없는 것은 자연의 내면적 고유성을 함유한 이상적 형과 태를 찾아내기 위한 과정이 가볍게 느껴지지 않기 때문이다. 변화하는 자연 모습을 감각적인 질료와 단순한 형태로 입체화한 김태수의 작품은 예쁘고 아름다운 그 자체로 기억할 만하다.

copyright © 2024 KimTaesue all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